- 김빛내리 서울대 생화학·분자생물학 교수
- 마이크로 리보핵산(RNA) 분야의 1인자
- 마이크로RNA(miRNA) 연구로 세계적 주목
김빛내리 교수는 1969년생으로, 1992년 서울대학교에서 미생물학으로 학사학위를, 1994년에는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영국 옥스퍼드대학에 유학하여 1998년 생화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생리⦁의학분야에서 노벨과학상 수상에 가장 근접한 국내 과학자로 손꼽히는 김 교수는 마이크로 RNA의 생성과정을 밝히고, 줄기세포와 암세포에서 RNA를 동정하고 그 기능을 규명하여 네이처, 사이언스, 셀 등의 세계 최상위 과학 학술지에 10여 편에 이르는 논문을 게재하였다.
특히 마이크로 RNA(miRNA) 분야에서는 세계적 석학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RNA는 DNA, 단백질과 더불어 생명체의 유전정보 전달을 담당하고 있는 핵심물질로, 최근 과학 분야에서 가장 '핫'한 노화방지, 생명연장 연구의 핵심과제로 알려져 있다.
마이크로 RNA(miRNA)’가 처음 발견된 것은 1993년이다. 빅터 암브로스(Victor Ambros) 등 3명의 과학자는 꼬마선충의 성장을 조절하고 있는 ‘lin-4’유전자를 연구하던 중 이 RNA의 존재를 처음 확인했다.
‘마이크로 RNA’ 세포의 분열과 성장, 사멸 등 세포 활동에 질서를 잡는 ‘감독자’ 역할을 하고 있다. 이 RNA가 제대로 생성되어 활동하지 않으면 세포는 질서를 잃어버리고 그 결과 암과 같은 치명적인 질병이 발생할 수 있다.김빛내리 교수는 2002년 사람 몸속에 있는‘마이크로RNA’가 세포 속에서 만들어지는 과정을 세계 최초로 규명해 냈다. 2003년에는 실제로 ‘마이크로RNA’를 만들고 있는 ‘드로셔 단백질 복합체’(드로셔-DGCR8 단백질 복합체, 일명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발견했다. 2008년에는 특정 ‘마이크로 RNA’가 암 발생과 연관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2009년에는 사람의 성장과 관련된 ‘마이크로 RNA’를 발견했다. 2010년에는 새로운 생명이 잉태되는 초기 배아 단계에서 ’마이크로 RNA’의 작용을 규명했다. 생명 탄생의 단서가 되는 이 연구결과는 ‘셀’, ‘네이처’, ‘사이언스’ 등 주요 저널에 모두 등재되어 많은 화제가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이러한 연구 성과로 김 교수는 지난 2013년에는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을 수상했으며, 언론기관 등에서 선정하고 있는 과학분야 차세대 리더로 벌써 수년째 연속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다음은 김빛내리 교수의 그 동안의 활동 내용(경력)과 국내외의 공신력 있는 기관들로부터의 수상 내용, 그리고 주요 업적들이다.
■주요 경력 :
▲2017년 서울대학교 이학부 석좌교수 ▲2015년 Science (과학저널)의 편집위원 ▲2014년 미국과학학술원 회원 ▲2014년 국가과학기술자문위원 ▲2014년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회원 ▲2012년 IBS RNA연구단 단장 ▲2012년 Genes and Development (과학저널) 편집위원 ▲2012년 유럽분자생물학기구 회원 ▲2011년 Cell (과학저널) 편집위원
■수상 경력
▲2013년 최고과학기술인상 (최고과학자) ▲2013년 S-Oil 과학문화재단 S-Oil 올해의 선도과학자상 ▲2013년 아모레퍼시픽 여성과학자상 대상 ▲2012년 국가과학자 (교육과학기술부) ▲2009년 지식창조대상 (KISTI) ▲2009년 호암상 (호암재단) ▲2009년 ‘세계 상위 1% 연구자’ (Clarivate Analytics 선정) ▲2008년 로레알-유네스코 세계여성과학자상 ▲2007년 젊은과학자상 (한국과학기술한림원) ▲2007년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2007년 톰슨사이언티픽사 논문인용상 ▲2006년 마크로젠 여성과학자상 ▲2004년 마크로젠 신진과학자상
■주요 업적 :
- ⧪ 스플라이싱과 RNA 분해의 분자적 연결 고리 규명
- ⧪ microRNA 생성경로에 대한 이론 제시
- ⧪ Drosha, DGCR8 등 microRNA 생성인자 동정
- ⧪ 배아줄기세포에서의 microRNA 조절 규명 .
노벨사이언스 science@nobelscience.co.kr